직장에서의 몰입 효과에 관하여
직장에서의 몰입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등반용 의류 등으로 세계적인 브랜드를 여럿 소유한 기업인 파타고니아를 설립한 이본 쉬나르는 브랜드 설립자답게 등산을 무척 좋아했습니다. 그는 더 많은 산을 즐기기 위해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근무하는 순회제철공으로 일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그는 뛰어난 금속 가공 기술을 개발해 품질 좋은 철제 등산용품을 만들었고, 나중에는 의류도 제조했습니다. 그가 만든 회사인 파타고니아는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최고의 품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회사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파타고니아의 직원들은 고객의 관심사와 자신들의 흥미가 일치하는 데서 큰 기쁨을 느낍니다. 그래서 무조건 소비를 부추기기보다는 고객의 손상된 의류를 무료로 수리해 주면서 고객과 환경을 모두 생각합니다. 직원들 모두가 바로 이렇게 일하는 방식에 흠뻑 빠져 즐거워합니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에 따르면, 전 직원이 일에 몰입하는 파타고니아야말로 몰입 경영이 이뤄진 사례입니다. 분명한 목표를 제시했다면 즉각적인 피드백도 몰입하는 조직을 만드는 데 중요합니다. 사람들은 무슨 일을 할 때 자신이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현장에서, 적절한 시점에 듣고 싶어 합니다. 그러지 못하면 그 활동에 지속해서 몰입하기가 어렵습니다. 자신이 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또 그에 따른 결과가 어떤 것일지 알 때 사람은 몰입하게 됩니다. 더욱이 다른 사람에게서 적절한 피드백을 받거나 자기가 세운 목표를 기준으로 저 스스로 피드백하다 보면 좀 더 잘하고 싶다는 의욕이 솟습니다. 이 과정에서 자기 능력을 향상하고 더 잘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면 일의 재미는 더욱 커질 것입니다. 단, 리더로서 피드백할 때는 일과 사람을 분리해서 봐야 합니다. 만일 무언가가 잘못됐다면 일이 잘못된 것이지 사람이 잘못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을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잘못을 문책하기보다는 문제 해결 방법을 가지고 대화해야 합니다. 만약 일이 잘됐다면 그때는 적극적인 피드백이 더욱 필요합니다. 타이밍을 놓치지 않고 구체적으로 해주는 칭찬 피드백은 직원의 자신감을 향상하고 일에 더욱 몰입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어서 직원들이 몰입하도록 만들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현재 그들이 지닌 기술의 수준과 과제의 난이도가 적절한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자기 능력에 비해 너무 쉬운 과제를 맡아도 몰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곧 싫증이나 권태감이 찾아올 테니까 말입니다. 반대로 자신이 지닌 기술에 비해 지나치게 어려운 과제를 맡은 경우에도 몰입은 어렵습니다. 일이 너무 힘들어 자신감을 잃고 포기하거나 줄곧 불안해할 것입니다. 때로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혹은 남들이 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근심하느라 전혀 몰입할 수가 없게 됩니다. 지금까지 직장에서의 몰입 효과에 관하여 살펴봤습니다.